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 국무총리


더트래커 = 이태희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이번 대선 출마가 점점 더 유력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의 이른바 ‘빅텐트론’이나 ‘단일화론’도 점점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와 국민의힘 후보들 간의 지지율 격차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는데다 대선 일정도 다가오고 있어 “이 방법 밖에 없다”는 분위기기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일부 대선 후보들은 며칠 전까지만 해도 한 대행 출마나 ‘빅텐트론’에 부정적이었으나 24일가 25일을 고비로 모든 후보들이 사실상 ‘찬성’ 쪽으로 돌아섰다.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25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한 대행 출마를) 반대하지만 출마를 기정사실화한다면 빅텐트로 같이 힘을 모아서 함께 반이재명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진행자가 '앞서 단일화에 부정적인 입장을 냈는데, 수용 입장으로 바뀐 것인가'라고 묻자 안 후보는 "그렇다"고 답했다.

지난 24일 저녁에도 안 후보 측은 공지를 통해 "한 대행 출마에는 부정적이지만 부득이 출마한다면 빅텐트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며 한 대행 출마와 단일화에 관한 입장을 냈다. 마지막까지 반대 입장이던 안 후보가 입장을 바꿈에 따라 국민의힘 2차 경선 주자 4명이 찬성 입장이 되었다.

한 대행과의 단일화에 가장 먼저 찬성 입장을 내놓은 곳은 김문수 후보다. 국민의힘 내에서 '한덕수 출마론'을 주도한 박수영 의원부터가 김 후보 캠프에 일찌감치 합류한 바 있다.

김 후보 캠프 미디어총괄본부장인 김재원 전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에서 "(한 대행이 출마하면) 보수 진영의 표를 잠식할 가능성이 훨씬 더 많다"며 "(김 후보는) 보수 진영을 넘어서 그 어떤 분들이나 정치 세력이라도 모두 손을 잡을 생각이기 때문에 단일화 제안을 먼저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경선 후보는 지난 24일 "경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다음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사람과 함께 할 것"이라며 한 대행과의 단일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당의 경선이 끝나지 않았는데, 빅텐트와 단일화 이슈가 주목받는 것은 보수 진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아직 본격적인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 하지만 한 후보도 찬성 쪽으로 이미 돌아선 것으로 알려진다.

홍준표 경선 후보도 지난 24일 "제가 최종 후보가 되더라도 한 대행과 '원샷 경선'을 해서 보수 후보를 단일화하겠다"며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안철수 후보까지 모두 돌아선 것은 당심과 민심이 한 대행과 단일화를 통해 빅텐트를 치고, 보수 단일화를 이뤘을 때 반이재명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여론이 보수층 유권자들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기 때문으로 알려진다.

한덕수 대행 본인도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되는 출마 요구 목소리를 회피할 수만은 없다"는 취지로 최근 주변에 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 정부 내부에서도 한 대행이 공직자 대선 출마 사퇴 마지막 날인 5월3일 대행 직 사퇴와 무소속 출마 선언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의힘은 오는 29일 2차 경선 결과를 공개하면서 결선에 오른 후보 2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최종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는 다음달 3일 열린다. 만약 2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면 양자 결선을 하지 않고 최종 후보로 확정한다.

한국갤럽 조사에 나타난 정당 지지도


한편 25일 발표된 한국갤럽 정례 대선 여론조사에서도 이재명 민주당 후보는 굳건히 선두를 지켰고, 국민의힘 후보들과의 격차는 거의 그대로 유지됐다.

한국갤럽은 지난 22~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3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어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8%, 홍준표 후보 7%, 한덕수 대행과 김문수 후보 각각 6%,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예비후보와 국민의힘 안철수 후보 각각 2%를 기록했다.

이낙연 전 국무총리,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민주당 김동연 후보는 각각 1%로 나타났다. 23%는 답변을 유보했다.

이재명 후보 선호도는 최고치였던 지난주 조사와 같았다. 지난주 조사와 비교해 한 후보는 2%포인트(p) 올랐고, 홍 후보는 같았다. 한 권한대행과 김 후보는 각각 1%p 하락했다.

갤럽은 "국민의힘 경선 후보 선호도 합계는 23%이고, 보수 진영 일각의 차출론에 힘입은 한 대행까지 포함해도 29%로, 이재명 후보에 못 미친다"면서 "한 대행은 2주 전 선호도 2%로 처음 이름을 올리고 지난주 7%로 존재감이 커졌지만, 뚜렷한 차별점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한동훈 후보가 21%, 홍준표 후보 19%, 한덕수 권한대행과 김문수 후보가 각각 17%, 안철수 후보가 1%였다.

무당층의 지지율은 민주당 이 후보 11%, 국민의힘 한 후보·홍 후보·안 후보 각각 4%, 개혁신당 이 후보 3%, 한 대행과 김 후보 2%였다. 무당층의 66%는 의견을 유보했다.

대선 결과에 대해 44%가 민주당 후보의 당선을 기대했고, 국민의힘 후보의 당선을 기대한 응답자는 32%였다. 다른 정당 후보의 당선을 기대한 응답은 7%였고, 16%는 의견을 유보했다.

전체 응답자의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4%,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이 각각 3%였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은 16%로 집계됐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도는 모두 직전 조사와 같았다. 양당의 지지율 격차는 8%로 오차범위 밖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