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광장


더트래커 = 이태희 기자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 기준은 평균 70.2세이며, 서울 거주 10가구 중 4가구는 혼자 사는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5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으며, 출퇴근과 통학에 1시간 이상 걸린다는 시민들도 전체의 12%를 넘었다. 서울 시민 10명 중 9명은 '정년 연장'에 동의했다.

9일 서울시가 2만 가구와 시민 5천명, 외국인 2500명 등을 대상으로 최근 조사한 '2024 서울서베이'에 따르면 우선 서울 시민들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 기준은 평균 70.2세로 나타났다.

연령기준을 세분화했을 때 70∼74세가 51.7%로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은 23.3%, 65∼69세18.1%, 60∼64세 6.6%, 60세 미만 0.3%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의 연령대로 나누면 65세 미만은 69.8세, 65세 이상은 72.3세를 각각 적정 노인 기준연령으로 꼽아 나이가 많을수록 노인 연령기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연령 기준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생각


서울시내 2만가구(가구원 3만6280명)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10가구 중 4가구(39.3%)가 1인가구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연령대는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고 20∼30대 34.9%, 40∼50대 24.5%였다.

1인 가구의 어려움은 균형 잡힌 식사(4.79점), 아프거나 위급시 대처(4.71점), 가사(4.69점), 고립에 따른 외로움(4.43점), 경제적 불안(4.17점) 등이었다.

서울시내 5가구 중 1가구(19.5%)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려동물 가구의 77.8%가 개, 19.2%는 고양이를 각각 키우고 있다. 개와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가구는 2.6%였다.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서울의 랜드마크


서울 가구의 76.6%는 통근·통학을 하며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버스(27.7%), 승용차(22.1%), 버스+지하철(19.7%), 지하철(13.0%), 도보(12.9%) 순이다.

통근·통학 소요시간은 30분∼1시간 미만이 48.2%로 가장 많았지만 1시간 이상도 12.8%에 달했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 여부에는 87.8%가 동의했다. 적정 은퇴 시기는 65∼69세(40.5%),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는 250만원 이상(5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65세 이상 시민의 노후 희망 활동은 취미·교양 활동(78.8%)이나 소득 창출(70.3%)이 손자녀 양육(33.5%)보다 높았다.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72%는 '중간'이라고 답했다. '하'는 24.6%, '상'이 3.4%였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높다' 30.5%, '낮다' 24.5%였으며 자녀의 계층이동 가능성은 '높다' 44.5%, '낮다' 13.7%로 응답했다.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67.8%로 2년 연속 상승했다.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서울 랜드마크로는 48.4%가 '광화문(광장)'을 꼽아 가장 높았다. 다음은 고궁(36.8%), 한강(23.8%), 동대문(DDP)(23.5%), 시청 앞 광장(20.6%) 등이다.

2024 서울서베이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 0.69%p다. 결과 보고서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누리집(http://data.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