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뉴욕 유엔본부의 한국대표부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한미 관세협상 관련 사항을 논의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뉴욕 현지 브리핑에서 “한미 관세협상이 3500억 달러 투자 펀드를 놓고 교착 상태에 놓인 상황에서, 이 대통령이 직접 베선트 장관에게 통화 스와프 등 핵심 사안을 상세히 설명했다며 “협상 과정에서 중대한 분수령”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 브리핑에 따르면 이날 면담에서 이 대통령은 베선트 장관에게 “한미 관계에서 안보 측면 협력은 잘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통상 분야에서도 좋은 협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 “투자 패키지는 상업적 합리성을 기초로 양국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논의의 진전을 기대한다”며 “한국은 경제 규모와 외환 시장, 인프라 측면에서 일본과 크게 다르다. 이런 측면을 고려해 협상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미 관계는 동맹으로서 매우 중요하며, 안보뿐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양국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동맹의 유지와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도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에 대해 “한미 동맹은 굳건하며, 일시적·단기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고 말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그는 "미국이 핵심 분야로 강조하는 조선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 협력이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인 지원에 감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역시 한국이 미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며 '조선 분야에서 한국이 매우 중요한 파트너'라고 강조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베선트 장관은 "통상 협상과 관련, 무역 분야에서 많은 진전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투자 협력 분야에서도 이 대통령의 말을 충분히 경청했고 이후 내부에서도 충분히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미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된 계기에 대해 “7월에 합의할 때는 3500억 달러 투자 펀드의 대부분은 대출이나 보증이고, 일부는 투자로 예상했고 그런 내용을 우리 비망록에 적어놨다”며 “그런데 미국이 이후에 양해각서(MOU)에 보낸 문서에는 그런 내용과 판이하게 다른 게 있었다”고 했다.
미국이 대출이나 보증이 아닌 3500억 달러 거의 대부분을 직접 투자로 요구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김 실장은 이번 관세 협상에서 “데드 라인을 두고 있지 않다”며 “상업적 합리성에 맞고, 우리가 감내할 수 있고, 국익에 부합하고,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으로 진행한다. 시한 때문에 원칙을 희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과정을 통해 베선트 장관도 이 문제에 대해 숙지를 하고 있었고, 오늘은 이 대통령이 직접 그 포인트(통화 스와프가 필요하다는 한국의 요구)를 말했다"며 "베선트 장관은 충분히 경청했다면서 관련 부처와의 논의를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설정에 대해 “통화 스와프가 무제한이 된다고 해서 자동으로 (관세협상 합의가) 다 된다는 건 아니다”며 국회 동의를 언급했다. 미국이 거액의 현금 직접 투자를 요구한 뒤, 우리 측은 미국에 ‘무제한 통화 스와프’를 요구한 상태인데, 이 통화 스와프가 체결된다고 해도 일정 금액을 넘는 현금 투자는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김 실장은 “중요한 계기는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하면 양국 정상 간 면담이 있을 것이고, 협상팀 입장에서는 중요한 계기”라고 했다.
김 실장은 이날 미 재무장관 접견이 성사된 배경에 대해서는 "애초 내일 열리는 한국경제설명회에 베선트 장관을 초대했으나, 베선트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 일정에 배석하는 일이 많아지며 결국 올 수 없게 됐다"며 "이에 베선트 장관 측에서 양해를 구하며 접견을 요청해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접견에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위성락 안보실장 등이 배석했다.
이 대통령은 이 면담 일정 때문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 뉴욕에서 6년 만의 유엔총회 연설을 한 뒤 이 기간 미국을 찾은 각국 정상과 배우자들을 위해 매디슨 애비뉴의 유서 깊은 ‘롯데 뉴욕 팰리스 호텔’에서 주재한 환영 만찬에는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 풀 기자단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날 오후 7시 21분 도착해 오후 8시 49분 차량 행렬이 호텔을 떠나기까지 약 1시간 반을 머물며 각국 정상들과 대화했다. 행사장은 트럼프에게 눈도장을 찍으려는 이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백악관 관계자는 “145명의 세계 대표들(leaders)과 배우자들이 대통령 부부와 사진을 찍기 위해 줄을 섰고, 일부는 몇 시간을 기다렸다”고 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토의를 주재했다.
한국 정상이 유엔 회의장 의장석에 앉아 공개토의를 주재한 것은 처음으로, 이는 한국이 올해 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우선 'AI와 국제평화·안보'를 이날의 주제로 채택한 뒤 의사봉을 두드려 토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각국 정상들은 이 대통령과 한국 정부를 향해 "회의를 주재한 것에 감사드린다"고 인사를 한 뒤 각자 준비한 발언을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자신의 차례가 되자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는 제프리 힌튼 교수의 말이 떠오른다. 새끼 호랑이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며 "우리가 AI를 어떻게 다룰지에 따라 전혀 다른 미래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