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공개된 미국 타임지 인터뷰에서 대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미국 요구대로) 그대로 합의했다면 탄핵 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요구조건들이 너무 엄격했다. 그래서 미국 협상팀에 합리적인 대안을 요청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관세협상 세부 내용 확정 단계에서 미국 측이 여러가지 무리한 요구를 한데 대해 수용 불가원칙을 분명히 하고 합리적 대안을 요청했다는 얘기다.
타임은 이 대통령이 관세 협상에서 합의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과의 (최근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를 주로 이야기했다고 분석했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의 북한대책을 묻는 타임 질문에 "우리가 북한에 그저 그만두라고만 하면 그들이 (핵) 프로그램을 멈추겠나"라고 반문하며 "우리가 현재의 압박을 계속 적용하면 북한은 더 많은 폭탄을 계속 생산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 우리는 종종 핵무기를 용인할지, 아니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할지의 '전부 아니면 전무'( all or nothing)의 선택으로 생각하지만 나는 중간 지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중단하기 위해 그들과 협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북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 진전이 있다면, 그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 외에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구체적 진전의 내용에 대해선 “대북 제재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제하는 협상을 통해 단계적 프로세스 즉, 핵 활동 중단, 축소, 최종 비핵화를 추진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도 같은 생각일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 및 중국과의 관계정립과 관련, “우리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는 한미동맹에 기반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중국과의 지리적 근접성, 역사적 관계, 경제적 연계, 그리고 인적 교류를 고려할 때 중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할 수는 없다”고 했다.
이어 “중국을 적대시하지 않도록 관계를 관리하지 않으면, 한국이 두 개의 블록이 맞부딪히는 최전선이 될 위험이 있다”고 했다.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에 대해선 “중국이 저를 초청하고 싶어 했던 것 같지만, 제가 더 묻지는 않았다”고 웃으며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부지 소유권을 거론한 것에 대해서는 “농담이었다고 믿는다”며 “이미 미국은 비용 없이 미군 기지와 부지를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땅을 실제로 소유하게 된다면 재산세를 내야 하는데 그건 면제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고 타임은 보도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 “다른 사람들처럼 평범한 삶을 살지 않았다는 점에서 (나와) 공통점이 있다”고 했다. 이어 “사업가로서 성공적인 삶을 이끌었고, 외부에서 예측 불가능해 보여도, 매우 성과 지향적이고 현실적인 사람이라고 믿는다”며 “자신이 패배자로 보이는 결론을 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비합리적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취임 후 가장 큰 성과로는 "국내 정치 상황이 안정됐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윤미향 전 의원의 사면으로 논란이 불거진 것에 대해서는 "모든 사안에는 양면이 있다. 여론이 갈릴 것을 알았지만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며 "지금의 정치 지형에서는 제 호흡조차도 비난 받는다. 제 책무는 이러한 문화를 바꾸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인터뷰는 이 대통령 취임 100일을 계기로 지난 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됐으며, 타임에는 이날 공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