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미국 정부가 조지아주(州)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벌어진 불법 체류자 무더기 구금사태와 관련, 미국 언론과 전문가들도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0일 “트럼프 행정부는 (이 사건을) 미국 노동계의 승리이자 불법 체류자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란 증거로 선전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미국의 이민 규정이 외국 기업의 공장 건설을 어떻게 방해하는지 여실히 보여줬다고 우려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특히 “이런 설비는 트럼프 대통령과 그 전임자들이 추진해왔으며, 완공되면 수만 명의 미국인을 고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다”고 했다.

보도에서 지오반니 페리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경제학 교수는 “이런 일들이 일어나면 많은 기업이 미국에 투자하기 전에 훨씬 더 신중해질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정책을 통해 그런 공장들을 유치하려 했다. 일부 기업은 공장 설립에 필요한 인력을 데려올 수 없을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했다.

엘런 휴스-크롬윅 전 포드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이차전지 배터리 공장을 지으려면 매우 특수한 기술 지식이 필요하다”며 “미국 내 제조업을 되살리면서 외국인 노동자가 노동력 일부가 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는 건 어처구니가 없다”고 말했다.

WP는 “미국에는 이런 공장을 짓기 위해 수개월 동안 수백 명의 숙련된 외국 인력을 데려올 수 있는 비자 제도가 없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이민 단속으로 현장 작업은 중단됐고,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에서는 비판과 함께 당혹감이 확산됐다”고 보도했다.

WP는 “현지 관계자들은 공장이 완공되면 수천 명의 미국인이 고용될 것이라고 기대해왔으며, 몇 년 안에 미국 노동자들이 외국 업체의 도움 없이도 이런 공장을 지을 수 있는 기술을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도 지난 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충돌했다"며 ”이번 급습 작전은 미 행정부 스스로 설정한 목표에 제 발이 걸려 넘어진 꼴“이라고 평했다.

매체는 싱크탱크 미국기업연구소 추산을 빌어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이민 단속으로 올해 약 20만5000명이 순유출될 전망이라며, 이 같은 감소세가 이미 노동시장 통계에 반영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일자리 증대 공언에도 최근 몇 달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꼬집었다.

한편 미 백악관은 9일(현지 시간) 조지아 사태와 관련, 외국 기업 근로자의 비자 문제 등을 해결하기위해 관련 부처가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비자 규정, 법적 조항 변경을 추진하는지 묻는 질문에 "국토안보부와 상무부가 이 문제를 공동으로 검토 중이라고 알고 있다"고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은 지난 일요일(7일) 전 세계 기업들이 미국에서 하는 투자에 매우 감사하며, 특히 반도체 칩이나 이번 조지아 사례처럼 배터리 같은 특수 제품을 생산할 때 이들 기업이 고도로 숙련되고 훈련된 근로자들을 (미국으로) 함께 데려오길 원한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말했다"라고 설명했다.

레빗 대변인은 "하지만 대통령은 동시에 이들 외국 기업이 미국 노동자를 고용하기를 기대한다"며 "그리고 외국인 노동자와 미국인 노동자가 함께 일하며 서로를 훈련하고 가르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대통령은 매우 미묘하면서도 책임감 있고 합리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