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22년간 전체 특허 출원의 42.9% 차지…일본·미국 크게 앞서
  • 케어젠·아모레퍼시픽 등 국내 기업들 천연물·바이오 분야 기술력 입증
 class=
성분 유형별 주요국 특허출원인 비중. (사진=특허청)

한국이 탈모 화장품 특허 출원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최근 22년간(2002~2023년) 주요국 특허청의 탈모 화장품 특허를 분석한 결과, 한국 국적의 출원이 전체의 42.9%(576건)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일본(20.2%, 272건), 미국(17.2%, 231건), 중국(8.9%, 119건), 유럽(7.7%, 104건)을 크게 앞선 수치다. 특히 천연물과 바이오 물질 분야에서 한국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천연물 분야에서는 50.0%(241건), 바이오 물질 분야에서는 56.4%(216건)의 점유율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주요 출원 기업을 살펴보면,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인 케어젠이 115건으로 1위를, 아모레퍼시픽이 72건으로 2위를 차지했다. LG생활건강도 25건으로 4위에 올라 글로벌 10위권 내에 한국 기업 3곳이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들의 약진은 전통 의학 지식을 현대 기술과 접목한 결과로 분석된다. 한 화장품 전문기업은 동의보감과 한국본초도감에서 선별한 약재 발효물을 활용한 탈모 방지 성분으로 한국, 일본, 중국에서 특허를 취득하고 다양한 제품을 출시했다. 또 다른 기업은 동의보감에서 착안한 모발 건강 증진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 탈모 화장품을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

학계에서도 혁신적인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 한 대학 연구팀은 약콩으로 알려진 서리태의 발효 과정에서 탈모 예방 효과가 증대되는 것을 발견해 특허를 출원했다.

임영희 특허청 화학생명심사국장은 "이번 특허 분석을 통해 탈모 화장품 시장이 우리나라가 기술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블루오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세계 탈모 화장품 시장을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특허 분석 결과를 산업계와 공유하고, 화장품 산업이 지식재산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따르면 세계 탈모 화장품 시장은 2025년 약 31조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과 특허 경쟁력이 이 거대한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거둘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