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 최대 150만 원 지원, 1~3개월 직무 경험으로 재취업 디딤돌 마련
- 생애주기별 계속고용 지원체계 도입… 3년간 15만 개 일자리 창출 목표
고용노동부는 조기 퇴직한 중장년층의 재취업을 돕기 위해 '중장년 경력지원제'를 본격 시행한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13일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해당 제도의 시행 계획을 발표하며, "중장년들이 새로운 경력을 쌓아 원하는 일자리에 빠르게 재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중장년 경력지원제는 기존 사업장에서 퇴직한 50대 중장년층이 새로운 분야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참여자는 기업에서 1~3개월간 실무 경험을 쌓고, 선배 직원의 직무 멘토링과 기초 실무교육(의사소통, 디지털 등)을 받을 수 있다. 참여 중장년에게는 월 최대 150만 원의 참여수당이 지급되며, 참여 기업은 인당 월 최대 40만 원의 운영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서울, 인천, 대구, 부산, 광주, 대전 등 전국 6개 고용센터와 중장년 내일센터에서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고 있다.
정부는 중장년층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계속고용 지원체계를 구축해 재취업과 고용 안정을 동시에 도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40대부터 생애경력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조기 퇴직 가능성이 높은 50대를 대상으로 유망자격형, 경력전환형, 경력이음형 등 다양한 유형의 일자리를 발굴한다. 특히, 향후 3년간 총 15만 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60세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계속고용 제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중장년 경력지원제를 통해 새로운 직무에 도전한 사례도 소개됐다. 예를 들어, 제조업에 종사하다 퇴직한 A씨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복지 분야에서 실무 경험을 쌓고 성공적으로 재취업에 성공했다. 김문수 장관은 "건강과 역량이 우수함에도 조기 퇴직하는 중장년들이 많다"며 "정부가 다양한 일경험 기회를 제공해 중장년들이 제2의 인생을 설계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제도 시행은 중장년층이 단순히 재취업을 넘어 새로운 직무 역량을 개발하고 직업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과 모니터링을 통해 중장년층의 고용 환경 개선에 힘쓸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