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이태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6일 취임 후 첫 국회 시정연설에서 현재 한국 경제가 엄중한 상황이라며 위기 탈출의 첫 단계인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의 신속한 처리를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시정 연설에서 "지금은 경제가 다시 뛸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며 "경제위기에 정부가 손을 놓고 긴축만을 고집하는 건 무책임한 방관이자, 정부의 존재 이유를 스스로 부정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경기침체 극복과 민생회복을 위해 30조 5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했다"며 "'신속한 추경 편성'과 '속도감 있는 집행'으로 우리 경제, 특히 내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추경안의 세부 내용을 설명하며 "이번 추경안은 경제위기 가뭄 해소를 위한 마중물이자 경제 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며 "경제와 민생을 살리는 데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시정연설에서 국정 운영 방향과 국정 과제를 설명하며 초당적인 협력을 재차 당부했다. 특히 공정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무너진 경제를 회복하고 민생경제를 살리는 일은 지금 우리가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고, 성장의 기회와 결과를 함께 나누는 '공정 성장' 문을 열어야 양극화와 불평등을 완화하고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기득권과 특권, 새치기와 편법으로 움직이는 나라가 아니라 공정의 토대 위에 모두가 질서를 지키는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자본시장 정상화도 언급하며 "자본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회복하면 경제도 살고, 기업도 제대로 성장 발전하는 선순환으로 코스피 5000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날 시정연설에서는 주요 키워드로 '경제'가 24차례, '성장'이 12차례, '회복'이 10차례나 각각 등장했다. 아울러 '민생'이 9차례, '위기'가 7차례, '공정'이 5차례씩 나왔다.
이날 이 대통령의 시정연설에 여당의원들은 12차례 박수로 적극 호응했으나 야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은 박수는 치지 않고 대체로 침묵을 유지했다. 고성이나 야유는 없었다.
대통령 입장과 퇴장 때는 국민의힘 의원들도 대부분 기립하면서 이 대통령과 악수를 나누었다. 권성동 의원 등 일부 의원들은 이 대통령에게 김민석 총리 철회를 요청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