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이태희 기자
최근 대형 산불로 크게 피해를 본 경남 산청군 인접 하동군에서 또 산불이 나 번지고 있다.
7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5분 쯤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한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 산림당국과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불이 최초 발화한 곳은 지난달 말 발생한 산청 산불이 번진 지점과 약 3㎞ 정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당국은 오후 1시45분 산불 1단계를 발령했다.
현재 산불 현장에는 최대 초속 15m의 북동풍이 강하게 불고 있다. 산림당국은 헬기 15대, 장비 37대, 인력 105명을 긴급 동원, 초동 진화에 나서고 있다. 현재 산불 영향 구역은 약 12㏊, 화선은 약 1.4㎞이지만 지난번 대형 산불 때처럼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어 산불 확산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산림청은 산불이 시작된 곳 인근에 있던 70대 남성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남성은 자력으로 불을 끄다 양손에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불을 모두 끄는 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면적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한편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7일 "이번 주 초에 경북 산불 확산 당시와 유사한 아주 빠른 바람이 불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관계기관 산불대책회의에서 "건조한 날씨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강원·경북 등 동해안 지역에 대형 산불이 발생할 위험성이 다시금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이어 "이번 건조·강풍 예보는 4월 대형산불에 매우 유리한 조건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며 "국민께서도 작은 불씨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입산 시 화기소지 금지나 불법소각 금지 등 산불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달라"고 강조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부터 8일 정오까지 해안가는 초속 20m 내외, 강원 산지는 초속 25m 이상의 강풍이 불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지난달 25일 경북 산불 확산 당시 남고북저 기압 패턴이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산림청과 소방청은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 산불 확산에 대비해 진화 헬기와 소방력 등 핵심 진화 자원을 전진 배치하기로 했다.
최근 대형 산불로 크게 피해를 본 경남 산청군 인접 하동군에서 또 산불이 나 번지고 있다.
7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5분 쯤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한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 산림당국과 소방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불이 최초 발화한 곳은 지난달 말 발생한 산청 산불이 번진 지점과 약 3㎞ 정도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당국은 오후 1시45분 산불 1단계를 발령했다.
현재 산불 현장에는 최대 초속 15m의 북동풍이 강하게 불고 있다. 산림당국은 헬기 15대, 장비 37대, 인력 105명을 긴급 동원, 초동 진화에 나서고 있다. 현재 산불 영향 구역은 약 12㏊, 화선은 약 1.4㎞이지만 지난번 대형 산불 때처럼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어 산불 확산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산림청은 산불이 시작된 곳 인근에 있던 70대 남성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남성은 자력으로 불을 끄다 양손에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불을 모두 끄는 대로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면적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한편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7일 "이번 주 초에 경북 산불 확산 당시와 유사한 아주 빠른 바람이 불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관계기관 산불대책회의에서 "건조한 날씨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강원·경북 등 동해안 지역에 대형 산불이 발생할 위험성이 다시금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이어 "이번 건조·강풍 예보는 4월 대형산불에 매우 유리한 조건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며 "국민께서도 작은 불씨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입산 시 화기소지 금지나 불법소각 금지 등 산불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달라"고 강조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부터 8일 정오까지 해안가는 초속 20m 내외, 강원 산지는 초속 25m 이상의 강풍이 불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지난달 25일 경북 산불 확산 당시 남고북저 기압 패턴이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산림청과 소방청은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 산불 확산에 대비해 진화 헬기와 소방력 등 핵심 진화 자원을 전진 배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