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더트래커 = 이태희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와 대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8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 지하 1층에서 의료 현안 브리핑을 갖고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와 국회에 의료 정상화를 위한 의료계의 제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줄 것을 정식으로 요청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4일 대통령 탄핵선고 이후 우리나라는 정상화의 길을 찾아가고 있고 의료 역시 정상화돼야 한다"면서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고, 이젠 정부와 국회가 제대로 결정권을 갖고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지난 4일 탄핵은 지난해 근거 없는 의대정원 2천명 증원을 발표한 이후 수련을 포기한 전공의들에게 가해진 업무개시명령 등 행정명령의 위헌적 소지가 있음을 간접 증명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무리한 행정명령 부과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개특위는 멈추고 의료개혁과제는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와 심도 있게 원점에서 재논의 해갈 것을 촉구한다"면서 "의료개혁 과제를 의협 등 의료계가 반대하는 것이 아니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세부적 내용이 급하게 추진돼 불합리한 것이 많으니 제대로 점검하고, 지속가능한 논의체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협은 내년도 의대 정원도 의학 교육이 가능한 수준으로 조정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김 대변인은 "2026년 의대정원을 확정해 불확실성을 제거해 줄 것을 요청한다"면서 "각 대학의 상황을 보면 도저히 교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곳들이 있어 교육부는 해당 대학 실사를 거쳐 제대로 교육이 가능한지 확인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교협)도 이날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정부에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이번주 중 3058명으로 확정해달라고 촉구했다.

의교협은 전날 정부와 각 정당의 당대표들에게 '의대 학사 정상화를 위한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3월 말까지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할 정도로 의대생들이 복귀하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5058명에서 증원 전 규모인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힌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