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경북·경남 3개 지역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정부 차원 피해 수습 예정
  • 헬기 110대 총동원, 소방청 전국 자원 투입… "추가 산불 예방에 국민 협조 당부"
 class=
경북 의성군 산불 현장에서 경북소방본부 119산불특수대응단원들이 불길을 잡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사진=경북소방본부)

정부가 영남 지역 대형 산불에 대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25일 오전 8시 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4차 회의에서 고기동 중대본부장은 산불 진화와 확산 방지, 인명 보호에 정부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회의 당일 오전 7시 기준, 현재 진행 중인 산불은 4건으로, 평균 진화율은 88%에 달한다. 산림청은 총 110대의 헬기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펼치고 있으며, 민가 주변에는 지연제를 살포하여 산불 확산을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 소방청 역시 전국의 소방 자원을 총동원하여 산불 영향 구역 인근 민가와 인명 보호에 최우선을 두고 대응 중이다.

특히 이번 산불의 심각성을 고려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24일 울산 울주군, 경북 의성군, 경남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이에 따라 해당 3개 지역은 정부 차원의 신속한 피해 수습 조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현재 산불 상황을 살펴보면, 울산 울주군의 경우 25일 오전 5시 기준 진화율이 98%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경북 의성의 경우 피해 면적이 1만 2천 헥타르를 넘어서고 진화해야 할 화선이 100km에 달하는 등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의성 산불의 진화율은 55%로 오히려 낮아진 상태다.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도로 차단, 사전 주민대피 등 안전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서산영덕고속도로 북의성IC에서 영덕톨게이트 구간 양방향이 전면 통제 중이다.

고기동 중대본부장은 "산불 진화헬기가 대형산불 발생지역에 집중 투입될 수 있도록 타 지역에서는 산불 예방활동에 철저를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형산불에 정부의 가용 자원이 집중될 수 있도록 국민께서도 산불 예방에 함께 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