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올해 모빌리티용 수소 수요량 2.3만톤 예상…안정적 수급 관리 강조
- 수소버스 연료 보조금 kg당 5,000원으로 상향…충전 인프라 확충 박차
수소전기버스 일렉시티 FCEV. (사진=현대자동차)
산업통상자원부가 3월 14일 서울에서 '2025년 제1차 모빌리티용 수소 수급 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올해 수소차 보급계획에 따른 수송용 수소 수급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수소차 시장의 급성장 전망과 함께 안정적인 수소 공급을 위한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환경부는 올해 수소버스 2천대, 수소승용차 1.1만대 등 수소차 신규 보급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수소버스 보급이 전년 대비 277% 증가한 1천대를 기록한 데 이어 더욱 확대된 규모다. 특히 수소버스의 경우, 국토교통부가 3월부터 연료 보조금을 kg당 3,600원에서 5,000원으로 상향 조정해 보급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수소차 보급 계획을 바탕으로 2025년 수송용 수소 수요량을 최대 약 2.3만톤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4년 수송용 수소 수요량인 9,499톤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정부는 관련 업계에 차질 없는 수소 공급을 당부했다.
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도 본격화된다. 환경부는 2024년 86기의 충전소를 새로 설치해 누적 386기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는 64기를 추가 구축해 누적 450기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상용차 전용 충전소와 기존 CNG 충전소의 수소충전소 전환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수소유통전담기관인 한국석유관리원은 올해 수소공급시설 점검계획을 발표하며, 최근 서산지역 석유화학사 정전으로 인한 부생수소 공급 차질 문제가 해결되어 수소 공급이 정상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수소버스는 다수의 국민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이므로 안정적 운행을 위한 수소 수급 관리가 중요하다"며 "정부는 수소차 보급 확대에 따른 수소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안정적 수소 수급을 위해 관련 부처, 지자체, 업체들과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