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테러단체와 이례적 직접 협상…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 주목
  • 이스라엘 "미국의 하마스 접촉, 사전 동의 없었다" 불편한 기색
 clas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MIDDLE EAST EY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대해 "모든 인질을 즉시 석방하지 않으면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최후통첩을 보냈다. 이는 미국 정부가 하마스와 인질 석방을 위해 비밀리에 직접 대화를 해온 사실이 공식 확인된 직후 나온 발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중이 아닌 지금 당장 모든 인질을 석방하고, 당신들이 죽인 사람들의 시신을 모두 돌려보내라"며 "그렇지 않으면 당신도 끝장날 것"이라고 위협했다. 그는 또 "이스라엘이 임무를 완수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보낼 것"이라며 "하마스 일원 중 단 한 명도 안전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국 정부와 하마스 간의 직접 대화 사실을 확인했다. 레빗 대변인은 "현재 대화와 논의가 진행 중"이라면서도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미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Axios)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 애덤 볼러가 최근 수주간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하마스 측과 접촉해 왔다. 이 대화는 가자지구에 억류된 미국 국적자의 석방뿐만 아니라 모든 생존 인질 석방과 이스라엘-하마스 간 장기적인 휴전 문제 등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하마스의 직접 대화는 1997년 미국이 하마스를 테러조직으로 지정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는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할 경우 상대를 가리지 않고 대화하는 '트럼프 식 외교'의 단면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스라엘 총리실은 성명을 통해 미국의 하마스와의 직접 대화에 대해 "입장을 표명했다"고만 밝혔다. 악시오스는 미국 정부가 하마스와의 대화 이전에 이스라엘과 협의는 했지만 사전 동의를 얻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현재 이스라엘은 24명의 생존 인질이 가자지구에 억류돼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이 중에는 미국 시민권자인 에단 알렉산더도 포함돼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미국과 하마스의 직접 대화가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집권 1기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세 차례 만난 바 있어, 향후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 재개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