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화로 노동공급 제약 심화…청년·여성·고령자 노동시장 진입 촉진 절실
  • 보건복지·디지털 분야 중심으로 인력 수요 증가, 제조·도소매업도 상당한 필요 예상
 class=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고령화와 노동공급 둔화로 인해 2029년부터 취업자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33년까지 노동시장에 추가로 필요한 인력은 약 82만 1천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경제성장률 목표치(1.9%)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규모다.

2023~2033년 동안 경제활동인구는 24만 8천 명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과거 10년간 증가 폭(309만 5천 명)의 약 10%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경제활동인구는 2028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전환되며, 고령층 비중 확대와 함께 노동공급 제약이 심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취업자 수 역시 같은 기간 동안 31만 2천 명 증가하겠지만, 2029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된다. 구체적으로는 2028년에 최고점인 약 2천 881만 명을 기록한 후, 2029년에는 전년 대비 약 1만 4천 명 감소하며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로는 고령화와 돌봄 수요 확대에 따라 사회복지와 보건업에서 취업자가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전환과 기술혁신의 영향으로 정보통신업과 전문과학기술업에서도 고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온라인화와 플랫폼화 등의 산업구조 변화로 소매업, 음식·주점업, 도매 및 상품중개업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직업별로는 돌봄 및 개인서비스직, 보건·사회복지직, 공학전문가, 정보통신전문가 등 고숙련 직군에서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매장판매직은 온라인화의 영향으로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되며, 자동화로 인해 장치·기계조작직도 줄어들 전망이다.

고용정보원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를 막기 위해 향후 10년간 약 82만 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서비스업에서 전체 추가 필요인력의 약 72%를 차지하며, 제조업과 도소매업에서도 상당한 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직업별로는 전문가(19만 2천 명), 사무직(14만 2천 명), 단순노무직(11만 5천 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용정보원은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을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정책적 노력이 절실하다"며 "기술변화에 적시 대응해 생산성을 높이고 부족한 노동력을 보완하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수 원장은 "향후 노동력 부족이 초래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장기적인 고용노동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며 "AI와 자동화 등 기술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