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안부-네이버 MOU 체결…3월 말부터 20여명 대상 특별교육 실시
- 챗봇 개발 등 실용적 AI 기술 교육…공공서비스 혁신 기대
행정안전부가 네이버와 손을 잡고 공공분야 인공지능(AI) 전문인재 양성에 나선다. 행안부와 네이버는 13일 공공 AI 전문인재를 네이버에서 교육하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서면으로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공공부문에서도 AI 전문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외부 채용에 한계가 있어 자체적인 전문 인재 양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뤄졌다. 행안부는 국내 대표 AI 기술 기업인 네이버의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활용해 공직 내 AI 전문 인재를 적극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공공 AI 전문인재 양성 특별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본격적으로 협력하게 된다. 첫 교육은 3월 31일부터 10일간 진행되며,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추천받은 공무원 2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교육 내용은 실용성에 중점을 두고 구성됐다. 교육생들은 클라우드 기반의 실제 AI 개발 플랫폼 환경에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AI 서비스 구현,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접목한 민원 응대 챗봇 개발 등을 실습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교육 이수 후 즉시 행정 현장에서 A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다양한 실습 교육을 지원하며 행정에서 필요로 하는 AI의 능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공공 분야 업무도 더욱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AI 도구를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AI 혁신의 물결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공분야 AI전문인재 양성이 필수적"이라며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우수한 역량을 갖춘 공공인재를 적극 육성해 공직 내 AI전문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공공부문의 AI 역량이 강화되면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민원 응대 챗봇 등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공공서비스가 확대되면 국민들의 행정 편의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행안부는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AI 전문인재를 양성해 나갈 계획이며, 앞으로 공공부문 AI 혁신을 선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