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은익 강릉원주대 교수 위원장 맡아… 2개월간 독립적 조사 진행
  • 부실시공 의혹 속 현장감식·설계도서 검토·관계자 청문 등 철저한 원인 규명 나서
 class=
지난 25일 충남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교각 위 구조물이 붕괴돼 있다. (사진=소방청)

국토교통부가 지난 25일 발생한 세종-안성 고속도로 교량 거더 붕괴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해 '건설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사고로 4명의 작업자가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은 가운데, 사조위는 사고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고 유사 사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28일 국토부에 따르면 사조위는 토목구조 전문가인 강릉원주대학교 양은익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여 총 12명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산·학·연 전문가들로 이뤄져 조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독립적인 업무 수행을 통해 투명성을 높일 계획이다.

사조위는 이날 오전 사고 현장 인근에서 첫 착수회의를 열고 향후 운영 일정과 계획을 논의했다. 이어 경기남부경찰청이 주관하는 관계기관 합동 현장감식에 참여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앞으로 약 2개월간 현장조사는 물론 설계도서 등 관련 서류 검토, 관계자 청문 등을 통해 사고 원인을 면밀히 분석할 예정이다.

이번 사고는 세종-안성 고속도로 건설공사 제9공구 현장에서 DR 거더를 거치한 후 거더 설치 장비인 런칭장비가 철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부실 시공과 과도한 설계가 사고의 원인일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사조위의 조사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조위의 조사 기간은 사고 조사 경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며 "철저한 원인 규명을 통해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이번 사고를 '무너짐 사고'로 분류하고 있으며, 현장 노동자들의 안전장비 착용 여부와는 무관한 구조물 자체의 붕괴로 보고 있다. 사조위의 조사 결과에 따라 향후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강화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