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이태희 기자
지난 2023년 해병대원 순직사건 발생 당시 널리 퍼졌던 이른바 ‘VIP 격노설’의 실체가 드디어 내주부터 본격적으로 파헤쳐진다.
해병대원 순직사건 및 수사 외압을 조사하는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의 정민영 특검보는 4일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다음 주부터 이른바 'VIP 격노설' 관련 조사를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수사외압 의혹이 촉발된 계기는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였고, 이 회의 이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혐의자에서 빠졌다"며 "이 회의 관계자들을 내주부터 불러 조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회의는 이날 오전 11시께 열렸다. 실제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은 이날 오전 11시 54분께 대통령실 명의인 '02-800-7070' 번호로 걸려 온 전화를 받은 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게 경찰 이첩 보류 및 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정 특검보는 "(이를 위해) 다음 주 월요일인 7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오전 10시30분에 불러서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전 사령관은 해병대 수사단장이었던 박정훈 대령에게 수사 외압을 가한 의혹을 받는다.
그는 2023년 당시 순직해병 초동 수사를 맡은 박 대령에게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고 명령하는 등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관계자로 꼽힌다. 김 전 사령관은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를 이끌었던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처음으로 'VIP 격노설'을 전달해준 인물로도 지목받고 있다.
"대통령이 회의에서 국방비서관으로부터 1사단 사망 사고 관련 보고를 받았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대한민국에서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느냐'며 격노했다고 한다"는 말을 김 전 사령관이 전달해줬다는 것이 박 전 단장의 진술이다.
하지만 그 후 김 전 사령관은 이 같은 발언을 한 적 없다고 부인했고, 지난해 12월 전역했다.전역 후 민간인 신분이어서 현역 때와 다르게 증언할 가능성도 있지 않느냐는 관측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정 특검보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나 대통령실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가 주된 조사 내용이 될것“이라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허위보고 관련해서도 조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임 전 사단장의 허위보고 의혹은 김 전 사령관이 채상병 순직 당시 임 전 사단장으로부터 "주변 수색을 하다 둑이 무너져 물에 빠졌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군검찰에 진술했다는 내용이다. 이는 임 전 사단장이 채상병 사고 원인을 급류가 아닌 강둑이 무너졌다고 잘못 보고했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