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진행된 준공식에서 김태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왼쪽 여섯번째),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다섯번째)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현대건설 제공]

더트래커 = 김태호 기자

현대건설이 한국형 이산화탄소(CO2) 포집·액화 통합공정 실증시설을 성공적으로 준공했다.

현대건설은 지난 14일 경기도 평택 수소 특화단지에서 CO2 포집·액화 실증시설 준공식을 가졌다고 15일 밝혓다.

이번에 준공한 실증시설은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책과제 ‘블루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CO2 포집·액화·활용기술 개발’의 결과로, 연구개발과 현장 검증을 거쳐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현대건설은 총괄 주관기관으로서 공정 설계·시공·운영 전반을 주도했다. 국내 최초로 습식과 분리막 포집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통합공정을 완성했다. 이를 통해 수소생산시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연간 3만톤 규모의 CO2를 안정적으로 포집·액화할 수 있는 설비를 구축했다.

현대건설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포집 효율 90% 이상 △순도 95% 이상의 고순도 CO2 확보를 실증했다. 포집된 CO2는 액화 과정을 거쳐 액체탄산 및 드라이아이스로 활용하거나 특수가스로 판매, 합성연료·화학제품 원료로 전환할 수 있어 상업적 활용성을 확보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에는 현대자동차, 롯데케미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맑은환경산업, 에니스, 한국특수가스 등 주요 기업과 대학·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현대건설은 산학연 협업을 통해 국내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CO2 포집·활용분야 산업 생태계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남겼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2022년 국책과제 착수부터 평택 실증 준공까지 전 과정을 통해 핵심 기술력을 확보한 것은 블루수소 산업과 탄소중립 실현을 준비하는 중대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축적된 기술력과 실증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