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강다림 기자

삼성증권은 연금 잔고(평가금 기준)가 지난달 말 기준 27조1000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증권의 연금 잔고는 작년 말 21조2000억원에서 올해 9월 말 기준 27조1000억원을 넘어서며 28% 껑충 뛰었다. 같은 기간 개인연금(DC+IRP+개인연금) 잔고도 23조원으로 34.4% 증가했다.

퇴직연금 중 확정기여형(DC형),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잔고는 지난해 연말 대비 각각 33%, 30% 증가하며 퇴직연금 상승세를 이끌었다.

연금가입고객 중에서 특히 40~50대 투자자의 개인형 연금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10조9000억원 수준이던 이들 고객의 잔고는 올해 9월 말 기준 15조3000억원으로 약 40.6% 증가했다.

또 연금의 투자자산 중 ETF(상장지수펀드)가 중장년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상품별 잔고 증가율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같은기간 ETF 잔고는 63% 증가해, 6조7000억원대에서 11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삼성증권 연금잔고의 고속 성장 배경으로는 가입자 중심의 연금 서비스를 꼽을 수 있다.

먼저 퇴직연금 최초로 2021년 운용관리·자산관리 수수료가 무료(단 펀드 보수 등 별도 발생)인 '다이렉트IRP'로 퇴직연금 수수료 체계의 판도를 바꿨고, 가입자의 편의를 대폭 높여 가입 서류 작성과 발송이 필요없는 '3분 연금'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삼성증권 공식 MTS인 엠팝(mPOP)을 통해 빠르게 연금을 관리할 수 있는 '연금 S톡', '로보 일임', 'ETF 모으기'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또 삼성증권은 업계 최초로 별도의 연금센터를 신설, 서울과 수원, 대구에서 3곳의 센터를 운영중에 있다. 해당 연금센터에서는 PB 경력 10년 이상의 숙련된 인력이 전문화된 연금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증권 연금센터는 연금 가입자 대상의 상담뿐 아니라 퇴직연금 도입 법인에 대한 설명회 등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한 해에만 약 200여건이 넘는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성주 삼성증권 연금본부장(상무)은 "퇴직연금은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삼성증권은 우수한 연금 관리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의 든든한 연금파트너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