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수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사가 17일(현지시각) 제7회 RAS 표적 신약개발 국제학술대회에서 차세대 표적항암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HM101207)’의 연구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사진=한미그룹 제공]
더트래커 = 김가영 기자
한미약품은 지난 16~1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제7회 RAS 표적 신약개발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해 차세대 표적항암 신약으로 개발 중인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HM101207)’에 관한 비임상 연구 결과를 구연으로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HM101207는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 중 치명적인 ‘KRAS 변이’가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신호전달 연쇄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SOS1’ 단백질과 KRAS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새로운 저해제다.
KRAS 변이는 폐암과 대장암, 췌장암 등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발견되고 있지만, 이를 표적하는 저분자 억제제는 현재 G12C 변이에 국한돼 있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KRAS G12C 저해제가 폐암과 대장암에 한해 승인됐지만, 제한적인 임상 효과와 내성 문제로 인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메커니즘 연구와 병용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일부 환자는 단독 요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KRAS 변이를 보유한 환자에서도 충분한 치료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여전히 상당한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존재한다.
HM101207은 다양한 KRAS 변이에 결합해 신호 활성을 낮춤으로써 암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이미 승인된 KRAS G12C 저해제, RTK 저해제 또는 MAPK 신호 경로 저해제 등 투여에 따라 발생하는 내성 유발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다양한 KRAS 변이뿐 아니라 PTPN11 변이, NF1 변이를 갖는 각종 암세포주에서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 KRAS 변이를 보유한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는 KRAS G12C 저해제 또는 MAPK 신호 경로 저해제와의 병용 요법을 통해 SOS1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한 항종양 효력을 나타냈다.
특히 HM101207은 다양한 RAS-off 저해제와의 병용요법에서 강력한 항암 시너지 효과를 입증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다른 SOS1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한 표적 특이성과 약물상호작용(DDI) 최소화 특성을 갖춘 HM101207은 글로벌 항암제 병용 전략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기대된다.
노영수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사는 “한미의 신약개발에서 핵심 축을 이루는 항암 혁신신약들의 탄탄한 미래가치를 올 하반기 글로벌 학회에서 진일보한 연구 성과로 입증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