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행사 열병식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중국과 북한이 28일 동시에 발표했다.
김정은이 마지막으로 중국을 찾은 것은 2019년 1월 7~10일로, 그의 방중은 6년 8개월 만이다. 열병식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참석할 예정이어서 북중러 3국 정상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이게 된다. 북중러 3국 정상회담 가능성도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서기 겸 국무위원장이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기념 행사에 참석한다”고 보도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이날 김정은이 시진핑의 초청으로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곧 중국을 방문한다고 전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이날 전승절 준비 상황 브리핑에서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26명의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가 기념 활동에 참석한다"며 김정은 위원장 등 참석자 명단을 발표했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과 조선(북한)은 산과 물이 이어진 우호적 이웃"이라며 "우리는 김정은 총서기(총비서)가 중국을 방문해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활동에 참석하는 것을 열렬히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고난과 역경의 전쟁 시기, 중조(중북) 양국 인민은 서로 지지하고 함께 일본 침략에 맞서 세계 반파시스트전쟁과 인류 정의 사업의 승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면서 "중조의 전통적 우호를 잘 지키고 공고히 하며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당정의 굳은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측에 따르면 이번 전승절 행사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베트남과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파키스탄, 네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벨라루스, 이란 등의 정상이 참석한다.
한국의 우원식 국회의장과 미국·영국·프랑스 등 각국 인사도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자 명단에 올랐다.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2018년 세 차례, 2019년 한 차례 등 모두 네 차례 있었다. 이번 방중이 성사된다면 김 위원장으로서는 다자 무대에 처음 참석하는 것이 된다. 북중러 정상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이기도 하다.
한 외교 소식통은 “이번에 북중러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중국 측이 한미일과 북중러의 대립 구도 형성을 우려하고 있어 실제 회담 추진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김정은의 방중으로 북중 관계 개선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북중은 수교 75주년을 맞았지만, 양국 고위급 교류가 예년에 비해 적어 관계가 악화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올해 초부터 북중 교류 활성화 조짐이 곳곳에 보였고, 이번 김정은 방중으로 양국 관계는 다시 정상화 단계로 들어서게 됐다.
김정은과 시진핑이 가장 최근 만난 것은 2019년 6월이다. 당시 시진핑이 평양을 찾아 김정은과 회담했다. 이번에도 북중러 3자회담까지는 안가더라도 북중 및 북러시아 정상회담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의 국제 다자외교무대 등장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버지 김정일이나 김정은 모두 본인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않는 다자무대는 기피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북·중·러 연대 구도를 부각시키면서 시진핑·푸틴과 대등한 지도자라는 점도 국제사회와 북한 주민들에게 각인시킬 수 있는 기회라는 판단 하에 김정은이 이번 다자 무대 데뷔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이후 중국과의 관계 강화 포석도 깔린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대통령실은 28일 김정은의 방중과 관련, "정부는 이 내용을 사진에 인지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기자간담회에서 "관계기관을 통해 (김 위원장의 방중 계획을) 알고 있었고, 오늘 발표될 것이라는 얘기도 오늘 아침 보고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실장은 특히 "이번 한미정상회담도 이런 일들의 영향을 기본으로 받았다"며 "(한미회담에서 논의가) 잘된 부분들에 대해 이런 흐름에 대한 연장선에서 해석해볼 여지가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그는 '북중러 밀착 움직임에 대해 조심스럽게 바라봐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라는 질문에 "기본적으로 우리는 중국과의 관계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의 방향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며 "(이를 위한) 남북 간 대화와 협력 채널은 늘 열려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