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북한이 14일 대남 확성기를 철거한 적이 없으며 그럴 의향도 없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 단행한 대북 긴장완화 조치를 평가 절하하고 적대적 태도를 이어가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정부는 “남북관계의 ‘정상화, 안정화’ 조치는 일관되게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으로 대응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서울의 희망은 어리석은 꿈에 불과하다’는 제목의 담화에서 “항시적인 안전 위협을 가해오고 있는 위태하고 저열한 국가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보다 선명해져야 한다”며 “우리 국법에는 마땅히 대한민국이 그 정체성에 있어서 가장 적대적인 위협 세력으로 표현되고 영구 고착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2일 “북측도 일부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김여정은 “사실부터 밝힌다면 무근거한 일방적 억측이고 여론 조작 놀음”이라며 “우리는 국경선에 배치한 확성기들을 철거한 적이 없으며 또한 철거할 의향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합동참모본부도 우리의 대북 확성기 철거작업에 호응해 북한도 일부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고 있다고 지난 9일 밝힌 바 있다. 이 발표를 전면 부인한 것이다.
한미가 오는 18일 시작되는 정례 한미 연합 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 연습을 일부 조정한 것에 대해서도 김 부부장은 “평가받을 만한 일이 못 되며 헛수고로 될 뿐”이라고 했다.
그는 “한국의 현 정권은 윤석열 정권 때 일방적으로 취한 조치들을 없애버리고는 그 무슨 큰일이나 한 것처럼 평가받기를 기대하면서 누구의 호응을 유도해보려는 것 같다”며 “하지만 이러한 잔꾀는 허망한 ‘개꿈’에 불과하며 전혀 우리의 관심을 사지 못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이 확성기를 철거하든, 방송을 중단하든, 훈련을 연기하든 축소하든 우리는 개의치 않으며 관심이 없다”고 재차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의 충성스러운 하수인이고 충실한 동맹국인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할 의지가 전혀 없다는데 대해 여러 차례 밝혀왔으며 이 결론적인 입장과 견해는 앞으로 우리의 헌법에 고착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김여정은 오는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미대화가 재개될 수 있다는 관측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우리가 미국 측에 무슨 이유로 메시지를 전달하겠는가”라며 “우리는 미국과 마주 앉을 일이 없다”고 했다. 이어 “미국이 낡은 시대의 사고방식에만 집착한다면 수뇌들 사이의 만남도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게 될 것이라는 데 대하여 분명히 밝힌 바 있다”며 “우리는 되돌릴 수 없는 과거에 집착하는 회담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으며 우리가 왜 관심이 없는지는 더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이날 김여정 부부장의 대남 담화에 대해 “남북관계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정상화, ‘안정화’ 조치를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정부는 “지난 3년간 ‘강대강’의 남북관계를 ‘선대선’의 시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의연하고 긴 호흡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며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구축을 위해서는 남북 모두의 성의있는 자세와 지속적인 행동조치들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 당국은 대남 확성기를 철거한 적이 없다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의도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은 (과거에도) 사실이 아닌 내용을 주장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군은 확인한 사실을 말씀드렸고, 현재도 (9일 발표 내용을) 유지하고 있다"며 북한이 이를 부인한 것에는 "의도가 있다"고 밝혔다.
합참은 지난 9일 북한이 40여대의 대남 확성기 중 2대를 철거하는 동향이 식별되자, 당일 오후 '대남 확성기 일부 철거' 발표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합참 발표 후 철거됐던 확성기 중 1대는 원상 복귀됐고, 나머지 1대는 여전히 철거 상태"라며 “북한이 대남 확성기를 철거하려다가 남측 발표를 보고 보류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부부장 주장처럼 북한이 애초에 대남 확성기를 철거할 의사 없이 수리 등을 목적으로 일부 확성기를 잠시 철거했을 가능성도 있다. 합참이 성급한 판단을 한게 아니냐는 관측도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