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 체결식에서 (왼쪽부터) JSW그룹 아룬 마헤쉬와리 이사, 자얀트 아차리야 사장,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사장, 포스코 신성원 경영기획본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포스코홀딩스 제공]
더트래커 = 박현승 기자
포스코그룹은 최근 인도 뭄바이에서 인도 1위 철강사인 JSW그룹과 본격적 사업 협력을 위한 HOA(주요 조건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대표이사 사장(미래전략본부장), 자얀트 아차리야 JSW Steel 사장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양사는 HOA를 통해 지난해 10월 체결한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 분야 등 사업 협력에 관한 MOU'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일관제철소의 건설 지역, 생산 규모, 지분 구조 등 협력방안을 한층 더 구체화했다.
일관제철소는 석탄, 철광석 등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원료 조달 경쟁력이 높은 인도 오디샤주를 주요 후보지로 선정해 공동 타당성 검토를 거쳐 최종 부지를 확정할 예정이다.
규모는 조강생산량 600만 톤으로 지난해 검토했던 500만 톤에서 확대했다. 이는 인도의 철강소비량이 최근 3년간 9~10%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 신흥 성장시장에 더욱 적극적인 시장 선점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지분은 양사가 각각 50%를 보유하는 동등한 파트너십 구조로 추진된다.
이번 HOA 체결을 계기로 양사는 세부 투자 조건 협의와 인허가 절차를 거쳐 본계약을 체결하고 일관제철소 건설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고경영층이 직접 참여하는 정기 교류회를 신설해 사업 진행 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주태 사장은 "인도는 글로벌 철강 시장의 핵심 성장축"이라며 "한국과 인도 1위 철강기업의 협업이 미래가치 창출은 물론 양국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장인화 회장이 취임 이후 발표한 7대 미래혁신과제 중 ‘철강경쟁력 재건'을 위해 국내외에서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인 투자를 실행에 옮기고 있다.
국내에서는 제품 고부가가치화에 집중하고 AI와 로봇기술 융합을 통한 인텔리전트 팩토리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한국 철강산업의 미래경쟁력 확보는 물론 글로벌 탄소저감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연구투자에도 집중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인도와 북미 등 고성장·고수익 시장 선점을 위한 상공정 중심의 해외 투자 확대와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현대차그룹과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합작투자 추진을 발표했다.
포스코그룹은 대내외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철강 등 그룹 핵심사업의 본원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초일류를 향한 혁신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