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SK하이닉스 제공]
더트래커 = 박현승 기자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18일 "SK가 단기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과감히 미래 투자를 지속했기에 오늘의 HBM 신화가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곽노정 사장은 이날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 개회사에서 “문 닫기 직전까지 갔던 회사가 SK를 만나면서 세계 최초 HBM 개발, 글로벌 D램 시장 1위, 시총 200조원 달성 등 도약을 이뤄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천포럼은 그룹 내 대표 변화추진 플랫폼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그룹 주요 경영진 및 구성원들은 오는 20일까지 인공지능(AI) 혁신, 디지털전환(DT), SK고유 경영체계인 SKMS 실천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곽 사장은 지난 2016년 최태원 회장이 “근본적인 변화가 없으면 갑작스러운 죽음(Sudden Death)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던 발언을 언급하며 “지난 몇 년은 이 말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입증하는 시간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변화의 중심에는 AI가 불러온 혁신이 있다”며 “AI가 불러온 변화는 점진적 혁신을 넘어 기존 산업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파괴적 혁신”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2년 최태원 회장은 경영난에 시달리던 하이닉스를 과감하게 인수하며 오늘날 SK하이닉스를 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최 회장은 회사 인수에 이어 적극적인 자금 투입을 통해 투자 여력을 확보했고, 채권단 체제하에서 여의치 않았던 대규모 장비와 설비 투자를 본격화했다.
미래 기술과 시장 변화를 내다보며 장기적 관점의 혁신에 집중하는 최 회장의 선구안과 리더십이 있었기에 오늘의 SK하이닉스가 있다는 것이 재계의 평가다.
경쟁사들이 단기 실적에 집착할 때 SK하이닉스는 AI 등 첨단 반도체 분야, 특히 HBM 차세대 메모리 개발에 전략적으로 집중하며 글로벌 AI·첨단 반도체 산업의 선두 주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이날 곽 사장은 SK그룹 특유의 ‘수펙스(SUPEX)’ 추구 정신을 강조했다.
그는 “수펙스는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을 지향한다는 그 자체의 뜻을 넘어 끊임없는 혁신과 개선을 지속하자는 의미를 갖고 있다”며 수펙스 추구 정신이 오늘날의 SK를 만들고 앞으로의 SK를 만들어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곽 사장은 사자성어 ‘지불시도(智不是道)’를 언급하며 “아는 것이 다 길이 되는 건 아니다”라며 “아는 것을 깊이 몸속으로 받아들이고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려는 자세와 노력이 길을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곽 사장은 “AI 시대의 변화는 이제 시작이며 엄청난 크기의 변화에 두려움을 느낀다”면서도 “문 닫을 위기를 겪어내면서도 HBM을 만든 SK하이닉스는 결국 어려움을 헤쳐 나가고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개회사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