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경찰이 KT가 무단 소액결제와 해킹 사건 발생 당시 서버를 폐기해 증거를 은닉하고 정부 조사를 방해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강제 수사에 나섰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19일 오전 성남 판교와 서울 방배동에 위치한 KT 사옥 등 3곳에 수사관 20여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KT 판교 사옥에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의혹을 풀 열쇠라고 할 수 있는 정보보안실이 있다. KT 방배 사옥은 인증서 유출 등 해킹 의혹이 나온 원격상담시스템이 구축돼 있던 곳이다.
경찰은 이 사건 관련, 정보보안실 총괄책임자라 할 수 있는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정보보안실 압수수색을 통해 KT가 해킹 사고를 언제 인지했는지, 이후 조처를 어떻게 했는지 등에 관해 확인할 계획이다.
경찰은 또 해킹 의혹 제기 후 KT가 원격상담시스템 구형 서버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폐기한 과정 전반을 들여다볼 방침이다.
앞서 미국 보안전문 매체 프랙은 지난 8월 8일자 보고서에서 중국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KT의 고객 원격 점검용 사이트 'rc.kt.kr'의 인증서 등을 탈취했다는 의혹을 보도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에 자체 조사 결과 자료를 제출할 것을 요청했고, 같은 달 13일 KT는 침해 의혹이 없다는 조사 결과를 발송하면서 군포·구로·광화문(수어용) 고객센터 구형 서버를 당초 예정보다 빠른 1일에 서비스를 종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이에 앞선 지난 7월 19일 같은 정황을 KT에 전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KT가 자료를 폐기할 의도로 서버 종료를 서둘렀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일 KT가 무단 소액결제와 해킹 사건이 발생했을 때 정부 조사를 방해하기 위해 허위 자료를 제출하거나 증거를 은닉하는 등 행위를 했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