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에게 금거북이 등 금품을 건네고 공직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을 받는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을 6일 소환조사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10시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휠체어를 타고 출석했다. 참고인 신분이지만 조사 결과에 따라 수사 과정에서 피의자로 바뀔 수 있다.
이 전 위원장은 지난달 13일과 20일 특검의 출석요구를 받았으나 발목 골절에 따른 수술 등 건강상 이유를 들며 모두 불출석했다. 이 전 위원장은 지난달 국회 교육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의 증인으로도 채택됐지만 출석하지 않았다. 각 상임위가 발부한 동행명령장 집행도 불발됐다.
특검팀은 앞서 지난 7월 김 여사 모친 최은순씨가 운영하는 요양원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금 4~5돈 상당의 금거북이와 함께 이 전 위원장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쓴 것으로 보이는 당선 축하 카드를 발견하고 이 전 위원장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 바 있다.
특검은 이후 이 전 위원장이 대선 전부터 이사장을 맡아 온 재단법인 한지살리기재단을 통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공예품을 건넸다는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위원장이 지난 2022년 9월 취임 직전 한지 복주머니가 든 액자를, 이듬해에는 '세한도(歲寒圖)' 복제품을 김 여사에게 건넸다는 정황도 추가로 파악했다.
특검은 또 그해 7월 이 전 위원장이 정모 정진기언론문화재단 이사장을 통해 '잘 말해 달라'는 취지의 메시지와 자신의 업무 수행 능력을 담은 '적격성 검토서'를 보낸 정황도 포착했다. 특검은 정 이사장이 이 위원장과 김 여사 사이에서 청탁을 전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에 이 전 위원장이 국가교육위원장으로 임명되는 데 김 여사가 영향력을 행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전 위원장은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역사학자로, 박근혜 정부 시절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2022년 9월 국가교육위원장으로 지명됐다.
이 전 위원장은 2023년 10월께 김 여사가 일반인이 입장할 수 없는 휴궁일에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했을 당시 동행하기도 했다. 이는 김 여사가 국가 유산을 사적으로 이용한 사례 가운데 하나로 언급되며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김 여사는 지난해 9월 일반인에게 개방되지 않는 종묘 망묘루에서 외부인과 '차담회'를 한 사실도 드러나 특검팀에서 수사를 받고 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을 상대로 경회루 동행 경위 등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