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병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간호사가 씽크 시스템을 통해 환자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사진=대웅제약 제공]
더트래커 = 박현승 기자
대웅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를 인천백병원에 공급했다고 5일 밝혔다.
인천백병원이 위치한 인천 동구는 지난해 기준 전체 인구의 27%가 65세 이상으로, 노인 인구 비율이 인천에서도 매우 높은 지역이다.
이로 인해 중증환자와 만성질환자를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절실했다. 하지만 기존의 간헐적 측정과 기록에 의존하는 진단 방식만으로는 환자별 맞춤 진료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병원은 환자 안전성과 진료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AI 솔루션을 검토했고, 최신 의료데이터 분석 기술을 보유한 ‘씽크’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 도입을 결정했다고 대웅제약측은 전했다.
이번 공급을 통해 인천백병원은 1차로 중환자실과 중증환자 전담 병동 2곳 54개 병상에 설치하고, 2차로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26개 병상에 추가 설치해 총 80병상을 운영하게 됐다.
씽크는 중증환자, 와상환자, 격리병실 환자 등 모니터링이 필수적인 환자군을 대상으로 실시간 상태를 관리하며,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환자의 심전도·산소포화도·맥박·체온 등 생체 신호를 자동으로 기록·분석해 환자 맞춤형 진료와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장기적인 예후 관리에도 활용된다.
씽크를 도입한 중환자실과 중증환자 전담 병동에는 일반 환자보다 훨씬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환자들이 입원해 있다. 이들은 상태가 시시각각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중증도가 높은 환자일수록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는데, 씽크가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는 환자의 미세한 변화를 조기에 포착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예컨대 산소포화도나 심전도의 작은 이상도 즉시 감지해 의료진이 빠르게 대응을 준비할 수 있다.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은 동시에 격리병실로도 운영되고 있다.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진과 환자 모두 큰 부담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씽크를 통해 원격으로 주요 생체 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씽크 공급은 환자 중심 의료 혁신을 앞당기고 스마트병원 도약을 지원하는 의미 있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국내 병원들의 진료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의료 혁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