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이 양사 석유화학 사업 재편안을 확정하고 정부에 승인 심사를 신청했다. 지난 8월 석화업계 구조재편 논의가 시작된 이후 약 3달만에 나오는 첫 구조조정안이다. 다른 업계의 구조조정 움직임도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은 26일 공시를 통해 “양사가 석유화학 산업 구조개편 참여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업재편계획 승인 심사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안은 롯데케미칼이 대산공장을 물적 분할하고, 해당 분할회사가 HD현대케미칼과 합병하는 구조다.
합병 후 HD현대케미칼은 존속하고 신설 분할회사는 소멸한다. 그리고 롯데케미칼이 합병 법인 주식을 추가 취득함으로써 HD현대케미칼의 공동 주주인 HD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이 합병 법인 지분을 50%씩 보유하게 된다. 해당 계획은 정부 심사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양사가 제출한 재편안의 핵심은 대산공장 내 NCC(납사크래커)를 중심으로 한 설비 통합이다. 그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케미칼은 충남 대산 석유화학단지 내에서 각각 NCC 설비를 운영해왔다.
이는 향후 감산 등 정부가 요구하는 공급과잉 해소 조치와도 직결된다. 지난 8월 정부는 국내 전체 NCC 용량 1470만톤 중 18~25%에 해당하는 270만~370만톤을 기업들이 자율 감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중국발(發) 공급 과잉에 따른 시황 악화가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를 불러온 만큼, 생산을 줄이라고 한 것이다.
대산단지에서 첫 구조조정안이 공식화되면서, 여수와 울산 등의 구조개편 논의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여수에서는 LG화학과 GS칼텍스가 NCC 통합을 논의 중이며, 울산에서는 대한유화, SK지오센트릭, 에쓰오일 등 3사가 외부 컨설팅을 통해 공동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날 오전 여수 국가산업단지에서 열린 ‘여수 석유화학기업 사업재편 간담회’에 참석해 석유화학 기업들을 압박하고 나섰다.
김 장관은 “정부가 지난 8월에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을 통해 발표한 산업재편계획서 제출 기한은 12월 말로, 이 기한을 연장할 계획은 없다”며 “이 시한을 맞추지 못한 기업들은 정부 지원에서 제외될 것이며 향후 대내외 위기에 대해 각자도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