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상풍력 산업 초기부터 공공주도 산업생태계 구축
- 정부 R&D 성과물 실증 지원, 에너지 안보 고려한 체계적 보급 확대
정부가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방식을 올해 상반기부터 경쟁입찰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완도신문)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3월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2차 해상풍력 활성화 업계 간담회’를 통해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해상풍력 산업의 초기 시장 형성과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하며, 정부의 연구개발(R&D) 성과물 실증을 통한 사업화 지원도 포함된다.
이번 추진방안은 에너지 안보 및 석탄발전 전환 등을 고려하여 해상풍력의 지속 가능한 보급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공공주도의 산업 생태계 구축과 이를 바탕으로 한 해상풍력 사업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부는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을 포함한 공공부문이 주도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정부 R&D 실증을 통해 터빈과 기자재의 실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공공부문은 과반 지분 참여를 기본 조건으로 하되, 정부 R&D 실증 여부와 공공 단독 출자 여부에 따라 지분 기준을 차등 적용한다. 평가 방식은 지난해 도입된 2단계 평가체계를 유지하면서, '자원안보특별법'에 따른 안보 평가지표를 신설해 평가에 반영한다. 또한, 공급망 및 안보 기여도를 고려하여 정책 우대가격을 부여하고, 정부 R&D 실증 시 추가적인 우대 가격을 제공하며, 융자 및 보증 등 금융 지원도 우선적으로 지원된다.
이번 발표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방식은 올해 상반기부터 경쟁입찰을 통해 도입될 예정이다. 산업부는 해상풍력 전체 입찰 수요와 공공주도형 입찰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고 용량을 확정할 계획이며, 상반기 공고는 5월에 진행된다.
산업부는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공공개발사, 터빈·케이블 제조업체, 해상풍력 선박 기업 등 다양한 업계 의견을 반영하여 관련 규정 개정을 착수할 예정이며, 다음 달에는 종합설명회를 개최하여 추가적인 의견 수렴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부는 지난해 발표된 ‘해상풍력 경쟁입찰 로드맵’에 따라 정기공고를 하반기에서 상반기로 조기 시행하고, 필요시 하반기에 추가 공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 추진방안은 해상풍력 산업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는 한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실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