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공서부터 은행까지 실물 주민증과 동일한 효력… 28일부터 온라인 신청도 가능"
- "블록체인 기술로 보안 강화… 4월부터 삼성월렛 등 민간 앱에서도 사용 가능"
행정안전부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14일부터 전국 주민센터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을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로써 스마트폰으로 신분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 신분증 시대가 본격 도래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지난해 12월 27일 세종시와 강원 홍천 등 9개 기초지자체에서 시범사업을 시작한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되어왔다. 14일부터는 서울, 부산, 광주를 포함한 전국의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28일부터는 주소지와 무관하게 모든 주민센터와 정부24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다.
주민등록법에 따라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는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관공서, 은행, 공항, 병원, 편의점, 선거 등 기존 주민등록증이 사용되는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하다. 특히 국민, 신한, 하나 등 15개 은행과 시스템 연계가 완료되어 계좌 개설, 이체 한도 상향, 계좌 비밀번호 변경 등의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보안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모바일 주민등록증에는 블록체인과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본인 명의의 1개 스마트폰에만 발급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 분실 시에는 통신사와 연동해 즉시 잠금 처리가 가능하다.
발급 방식은 IC 주민등록증을 이용하는 방식과 QR 코드를 촬영하는 방식 두 가지다. IC 주민등록증 방식은 스마트폰을 교체하거나 분실해도 주민센터 방문 없이 재발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월부터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외에도 삼성월렛에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국민은행, 네이버, 농협은행, 토스, 카카오뱅크 등 5개 기업의 민간 앱에서도 활용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다.
김창경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일상의 디지털화를 완성해 나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으며,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다양한 혁신 서비스를 지속 발굴, 확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