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서울-인천-경기도, 마스터플랜 수립 위한 전담조직 구성
  • 경부선·경인선·경원선 등 복잡한 노선 연계 문제 해결 나서
 class=

국토교통부가 수도권 철도 지하화 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함께 '수도권 철도 지하화 마스터플랜 전담조직'(TF)을 발족했다. 7일 서울에서 열린 발족식을 시작으로 TF는 수도권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에 나선다.

이번 TF 구성은 지난 2월 19일 대통령 권한대행 겸 부총리 주재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발표된 수도권 철도 지하화 사업의 후속 조치다. 수도권 노선의 복잡한 기술적 쟁점을 해소하고 광역 지자체 간 이해관계를 조율하기 위해 마련됐다.

수도권 철도 지하화 사업은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등 주요 노선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 노선은 열차 운행이 서로 연계되어 있고, 다른 노선과 지상에서 연결·분기되는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로, 청량리, 이문 등에 위치한 차량기지 이전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TF는 격주 단위로 회의를 개최하며, 초기에는 주요 쟁점들을 집중적으로 도출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이해관계 조정과 최적안 도출을 지원하고, 광역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초지자체의 의견까지 폭넓게 수렴할 예정이다. 또한 국책연구기관과 한국토지주택공사, 국가철도공단 등 전문 공공기관도 참여해 사업성 및 기술 검토를 지원한다.

윤진환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수도권 노선은 '철도지하화특별법' 제정의 배경이자, 수혜 인구가 가장 많은 핵심 노선"이라며 "수도권 철도 지하화를 위한 주요 쟁점 해소를 위해 지자체, 전문가 등과 함께 지혜를 모아 속도감 있게 추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서울 시내 지상철도 전체 구간 약 68km를 지하화하고, 지상 공간은 공원과 복합개발 용지로 활용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25조6000억원으로 추산되며, 상부공간 개발 예상이익 31조원을 통해 충당할 계획이다.

수도권 철도 지하화 사업이 실현되면 도시 경관 개선, 소음 감소, 지역 단절 해소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지상 철도 부지의 활용을 통해 새로운 도시 개발의 기회도 창출될 전망이다. 다만 막대한 사업비 조달과 복잡한 기술적 문제 해결이 과제로 남아있어, 이번 TF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