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지난 7일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1년 6개월간의 의정 갈등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한것과 관련, "장관으로서 정부의 책임을 자인하는 사과로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향후 이재명 정부 의료 개혁 추진 과정에서 "이전과 같이 의료진의 일방적 희생을 요구하거나 정책에서 배제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의협은 8일 입장문을 내고 “신뢰 회복이 문제해결의 시작임을 밝혀 그동안 의협이 언급한 바와 같은 인식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전날 정 장관은 환자·시민 단체와의 간담회에서 "그동안 의료 현장에서 많은 불편을 겪은 환자와 가족 여러분께 깊은 사과 말씀 드린다"며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국민과 의료인이 공감하는 의료 혁신을 추진하겠다.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의협은 또 보건복지부가 사직 전공의들이 기존 수련병원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초과 정원 인정 등의 특례를 부여하기로 한 데 대해 "아쉬운 부분이 없지는 않으나 이해당사자들이 모여 결론을 도출해 낸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같은 날 진행된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전공의 복귀 방안이 공식적으로 결정된 것에 대해서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의협은 "향후 수련병원에 대한 지원책, 올해 3월 군입대 전공의들의 수련 재개 방안 등에 대한 정부의 전향적 지원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대한의학회도 입장문을 내고 "사직 과정에서 병역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징집된 전공의들이 전역 후 기존의 수련 현장으로 돌아와 수련을 완성할 수 있도록 정부와 관계부처가 적극적으로 조치해줄 것을 건의한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전날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의학회 등과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를 열고 전공의 복귀안을 발표했다.

사직 전공의들이 이전에 근무하던 병원에 같은 과목·연차로 복귀하는 경우 수련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정원을 결정하고, 초과 정원이 발생하면 인정해주기로 하는 내용이다.

또 전공의가 복귀하면 최대한 군 입대를 연기해 주고, 수련 도중 입대 시 제대 후 사후 정원을 인정해주기로 했다. 이미 입대한 전공의도 제대 후에 사직 전 병원·과목·연차에서 수련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해달라는 대전협 등의 요구에 대해서는 계속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환자 단체 등에서는 사직 전공의들에게 반복적으로 특혜성 조치를 주는 데 대한 반발도 없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