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홈페이지


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KT가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본 2만여 명에게 위약금을 면제해주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섭 KT 대표는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연 해킹 사태 청문회에서 “정보 유출까지 피해가 발생한 고객 2만30명에게 (위약금 면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한다”고 답했다. KT에 따르면 불법 초소형 기지국에 접속해 개인 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는 고객은 2만30명에 이른다.

다만 전체 고객의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서는 “생각은 하고 있지만 최종 조사 결과를 보고 피해 내용을 고려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김 대표는 답했다.

김 대표는 이날 또 무단 소액결제 범행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가 부실했다고 인정하면서 문자 메시지(SMS) 등 모든 소액결제 인증 방식을 대상으로 피해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펨토셀 설치·관리를 외주업체가 맡고 있느냐는 이상휘 의원(국민의힘)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고 관리 부실이 사건을 초래한 원인이라는 지적에 "인정한다"고 말했다.

여야 의원들은 김영섭 KT 대표를 비롯한 임원들의 자진 사퇴 등 책임 있는 문제 해결 자세를 촉구했지만 김 대표는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며 유보하는 태도를 취했다.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은 KT가 총 11차례에 걸쳐 거짓 해명과 말 바꾸기를 반복했다며 복제폰 생성 가능성을 부인하는 주장 역시 신뢰할 수 없어 전 고객 대상 문자 메시지 고지와 유심 교체 등 적극적인 고객 보호 조치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훈기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가장 심각한 것은 서버 폐기인데, KT는 지난 19일 과방위원들이 우면동 사옥을 방문했을 때 폐기 서버의 백업 로그가 남아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 서버 폐기에 대해 지금까지 세 번이나 말을 바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이 "이는 증거 인멸을 위한 조직적 은폐이자 범죄 아닌가"라고 비판하자 김 대표는 "지금 생각하면 (보고를) 해야 했는데 경황이 없어 깜빡해 죄송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조직적인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김영섭 KT 대표이사


한편 KT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 사건의 배후에 중국 조직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 경찰은 경기 광명 등 수도권에서 214명이 1억3650만원의 피해를 입은 이 사건의 주범 A(48)씨와 공범 B(44)씨 등 총 3명을 조만간 검찰에 넘길 예정이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구속된 A씨를 송치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경찰은 또 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된 공범 B씨 등 2명을 함께 송치할 계획이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중국에 있는 ‘상선’으로부터 지시를 받고 중국에서 만들어진 불법 개조된 소형 기지국 장비(펨토셀)을 자신의 승합차에 싣고 다니며 피해자들의 휴대전화 신호를 가로채 결제를 유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지난 7월 말 중국에서 만들어진 장비를 받았다. 장비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핵심 프로그램이 있는 노트북을 비롯해 대포폰과 개조된 펨토셀, 전선, 안테나 등이었다.

A씨는 “사람이 많은 곳으로 가라”는 윗선의 지시를 받고 범행을 했다. 그는 광명 쪽에 거주하고 있어 지리를 잘 알았다고 한다. A씨는 장비에 대한 지식이 없었지만 중국에서 만들어진 장비를 10분 만에 연결할 수 있었다. A씨는 범행의 대가로 윗선으로부터 430만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정보를 탈취한 A씨가 모바일 상품권 등을 구매하면 B씨가 이를 받아 지류 상품권으로 교환했다. B씨는 지류 상품권을 현금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 같은 방법으로 얻은 범죄 수익은 총 2억원가량이며 B씨는 자신의 몫 10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를 국내 환전소를 통해 중국 계좌로 송금했다. 2억원에는 현재까지 확인된 KT 소액결제 사건의 피해금이 모두 포함돼 있다.

경찰은 A씨에게 범행을 지시한 ‘윗선’은 검거하지 못한 상태다. A씨와 B씨 등 모두 전산 분야의 전문 지식은 물론, 동종 전과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범행을 지휘한 윗선이 총책인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며 “현재까지 다른 공범이 국내외에 있을 것으로 보고 장비 검증 등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