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기준 기상청 날씨예보


더트래커 = 김상년 기자

4일 소강상태를 보인 폭우가 수요일(6일)부터 다시 이틀 정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날 기상청에 따르면 6~7일 다량의 수증기가 남아있는 내륙 지역 중심으로 좁은 띠 모양의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를 북쪽에서 남쪽으로 훑고 지나면서 대기 불안정에 따른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를 뿌릴 전망이다.

이 비구름대는 기존에 있던 찬 공기 사이로 고온다습한 공기가 파고들면서 동서로는 길고 남북으로는 폭이 좁게 형성된 형태로 중부지방에서 남해안으로 남하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새벽부터 오전 사이에는 중부지방, 이날 밤부터 7일 아침까지는 남부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강수대가 형성된다. 띠 모양 비구름대는 구름대가 걸쳐지는 지역에 '국지성 극한호우'를 뿌릴 수 있다.

기상청은 6일 밤에서 7일 아침까지 비구름대가 남부지방에 머물 때 정체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우려했다. 지난달 중순과 전날 극한호우로 큰 피해를 본 남부지방에 다시 극한호우가 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기상청은 최대 시간당 50㎜ 안팎씩 비가 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6일 전국 예상 강우량은 5~80㎜ 정도이지만 6일 밤과 7일 새벽 사이에 또 남부지방에 국지적인 극한호우가 집중될 가능성이 있어 지역에 따라 강우량 편차가 크다. 7일까지 포함한 예상 강수량은 5일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강수대는 남북의 폭이 매우 좁게 나타나는 만큼 같은 지역 도 단위에서도 비가 내리는 지역과 내리지 않는 지역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더위는 7일 이후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북쪽에서 찬 공기가 주기적으로 남하하면서 8일부터는 서울 등에 열대야도 멈출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강한 강수가 나타나는 지역은 기온이 하강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3~4일 호남·경남권 등에 집중된 호우로 전국 이재민이 3000명을 넘겼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일부터 남부지방에 집중된 폭우로 전국 7개 시·도에서 3000명 이상이 긴급 대피했다.

이날 오전까지 이재민은 총 2130세대 3009명으로 집계됐다. 전남 무안에서는 60대 남성이 물에 휩쓸려 숨졌고, 무안 한 곳에서만 289.6㎜의 비가 내렸다.

광주, 담양, 산청, 하동 등 다른 지역도 200㎜ 안팎의 강수량을 기록했다. 국립공원 263개 구간과 하천변 128곳, 도로 59곳 등이 통제됐고, 호남선 일부 열차와 여객선 운항도 중단됐다.

특히 이번 비는 지난달 기록적인 폭우로 이미 피해를 입었던 지역에 다시 집중되면서 지반 붕괴나 구조물 파손 등 2차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