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휴가를 가는 사람들의 휴가일정 분포


더트래커 = 이태희 기자

올해 여름휴가를 간다는 국민 비율이 47% 정도이고, 휴가를 갈 경우 출발예정 일자는 7월26일(토)~8월1일(금)이 가장 많았다. 휴가 예정지역은 동해안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남해안권, 서해안권, 수도권, 제주권 순이었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연구원이 최근 전국 9560명을 대상으로 '2025 하계 휴가철 통행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교통 수요가 예상됐다고 22일 밝혔다.

응답자의 46.5%는 여름 휴가를 계획 중이며, ‘안간다’ 또는 ‘미정’ 응답은 53.5%였다. 휴가를 가지 않거나 미정인 이유는 ‘휴가비용 부담’(24.9%), ‘업무·학업·생업’(19.6%), ‘무더위나 태풍 등 날씨 영향으로 움직이기 싫어서’(12.3%) 등으로 나타났다.

2024년 대비 '휴가를 간다' 응답 비율이 2.4%p 감소했다. '휴가를 가지 않겠다'는 0.8%p, 미정비율은 1.6%p씩 각각 증가했다. 불경기와 날씨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름휴가 계획이 없는 이유


휴가여행 출발예정 일자는 ‘7.26(토)~8.1(금)’이 19.6%로 가장 많고, ‘8월 9(토)~15(금)이 15.3%를 차지했다. 휴가 일정은 ‘2박 3일’이 28.4%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6일 이상’ 21.3%, ‘3박4일’ 20.6% 순이다.

국내여행시 예정지역은 동해안권(24.9%)이 가장 많고, 다음은 남해안권(18.3%), 서해안권(11.4%), 수도권(11.3%), 제주권(9.1%) 순이다. 휴가 유형으로는 맛집/식도락형(21.9%), 바캉스형(20.4%), 친목도모형(14.9%)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해외여행 비율은 국내 78.8%, 해외 21.2%로 나타났다. 지난해 조사보다 국내 휴가를 떠나겠다는 비율이 2.2%포인트 높아졌다.

올해 여름휴가 기간 중 선호하는 교통수단은 승용차 55.2%, 항공 33.5%, 철도 6.2%, 버스 3.2%, 해운 1.5%의 순으로 조사됐다. 휴가 기간 중 전국 고속도로 이용 비율은 ‘서울양양선’이 15.0%, ‘영동선’ 13.3%, ‘경부선’ 13.3%, ‘서해안선’ 9.5%, ‘중앙선’ 8.8%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여행 휴가비용 분포는 ‘100만원 이상’이 4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60만원 미만’ 18.2% , ‘30∼40만원 미만’ 9.1%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 휴가는 ‘100만원~200만원’이 2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0~300만원 미만’ 19.7%, ‘300∼400만원 미만’ 14.3%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여름휴가 비용 분포


국토부는 이같은 조사 결과를 반영, 이동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는 25일부터 8월 10일까지 17일간을 여름 휴가철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관계기관 합동 하계 휴가철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대책 기간에는 총 1억392만명(일평균 611만 명)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여름 대책 기간 대비 2.4% 증가한 수치다. 일평균 고속도로 통행량은 전년(530만대) 대비 2.8% 늘어난 545만대로 예측됐다.